임신과 분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CLINIC INFO

클리닉정보

BYKim INSIDE
클리닉정보 | CLINIC INFO

CLINIC GUIDE

진/료/안/내 바로가기

상/담/문/의

(02)902-9955

분만 질성형수술 요실금 미혼여성클리닉
HOME > 클리닉정보 > 임신과 분만

임신과 분만

임신과 분만

- 01 -  산전진찰

● 초기 방문시

① 병력 청취

의사가 임신부에 대해 많이 알아야 최상의 진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질환의 개인적인 병력 혹은 가족력에 대해 상세히 말씀해 주세요.

내과적 질환 여부 : 당뇨, 고혈압, 간염, 결핵, 천식, 심장병 기타 루푸스 질환
외과적 질환 여부 : 맹장염, 장 이상으로 인한 수술, 유방, 갑상선 수술 등
기형 관련 여부 : 선천성 기형 또는 염색체 이상의 가족력 유무
산부인과 관련 : 과거 분만력, 분만 방법, 분만 기간, 출산시 신생아 체중, 기타 임신에 합병된 질병 유무, 최종 월경일과 월경 주기, 유산력, 성병 및 자궁외 임신을 포함한 기타 산부인과 질환의 과거력, 피임 방법

② 이학적 검사

혈압 및 체중 측정, 외음부와 질 및 자궁경부 검사를 통해 이상 질 분비물, 성병 유무, 기형 자궁 유무 파악과 골반 계측, 팔과 다리의 정맥류 및 부종 검사

③ 초음파 검사

임신 초기 질초음파를 통해 정상적인 임신인지 자궁외 임신인지 감별하고 태아 크기를 계측하여 정확한 예정일을 산출합니다. 또한 쌍태 임신 유무, 태아 심박동 유무를 파악하고 자궁 및 난소, 난관 등에 기타 이상 소견은 없는지도 확인합니다.

● 태아 목덜미투명대 측정 및 이중 표지자 검사 (Nuchal Translucency and Dual Marker Test)

다운증후군 및 심장 기형 등 비정상 태아의 조기 진단이 점차 강조되면서 임신 1삼분기, 즉 임신 10주에서 14주 사이에 3차원 초음파를 이용해 태아 목덜미 투명대 측정하고 모체의 혈정을 이용하여 이중표지자 물질(PAPP-A, free -hCG)을 방사선동 위원소면역법으로 측정하여 양수 검사 등 산전 정밀검사가 필요한 산모를 조기에 선별해 내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본 검사에서 비정상 소견이 발견될 경우의 임신이라도 기형아 임신이라 확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과가 음성으로 나오더라도 이것이 곧 정상 태아임을 보증하는 것은 아니므로 임신 15주~22주 사이에 삼중 표지자 검사(triple test)를 시행하여 본 검사에서 밝혀 낼 수 없는 신경관 결손증이나 에드워드 증후군에 대한 위험도를 선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목덜미 투명대가 비정적으로 증가된 경우, 다운 증후군 및 기타 선천성 기형에 대한 위험도가 높습니다.

● 임신 15~22주 임신 중기 선별 검사 : 모체 혈정을 이용한 삼중 표지자 검사 (triple marker)

태아의 체내에서 생성되어 임신부의 혈관으로 배출되는 세가지 호르몬(AFP, hCG, estriol)을 방사선동위원소면역법으로 측정하여 다운증후군, 에드워드 증후군 또는 기타 다른 염색체 결함 이상과 신경관 결손중에 대한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비정상적인 삼중 표지자 검사결과는 다운 증후군이나 신경관 결손증에 대한 위험도가 남들보다 증가되어 있다는 의미이므로 양수 천자 검사와 같은 확진 검사를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때로는 임신 주수 환산이 정확하지 못하여 비정상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초음파 검사상 태아 크기와 임신 주수가 잘 일치하는 경우 양수 천자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임신 19~25주 : 산전 정밀 초음파 검사

임신 중기, 태아의 주요기관이 형성되고 양수량이 풍부하여 태아의 정상 발달 상태와 세부 구조를 관찰하기 좋습니다. 산전 정밀 초음파는 일반 초음파와는 달리 태아의 주요 해부학적 기관(뇌, 심장, 콩팥, 위장관, 요로기관, 근골격계, 안면)에 대한 발육 상태 및 이상 유무를 관찰하여 치명적인 기형 유무를 조기에 진단하고 기타 부가적인 산전 유전학적 검사 필요성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태아 주조 외에도 태반의 위치, 자궁 경부 길이와 양수량, 태아 혈류 도플러 파형검사를 시행합니다.
산전 정밀 초음파 검사 시 남편 또는 가족들이 함께 초음파로 태아를 관찰하실 수 있습니다.

● 임신 24~30주 : 임신성 당뇨 선별 검사, 혈액(빈혈유무) 및 소변검사

임신 중기 빈혈 검사를 포함하여 소변 내 이상 유무(단백질, 당뇨, 세균뇨 등) 및 임신성 당뇨에 대한 1차 선별검사(50g당 부하 검사)를 시행합니다. 검사시 특별히 금지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검사 1~2시간 전에는 금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성 당뇨는 임신부의 3~5% 정도에서 나타나는 혼합 임신성 질병으로, 진단되는 경우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필요한 경우 인슐린 등의 약물 요법으로 혈당을 철저히 조절하면 임신부와 태아에게 큰 문제를 유발하지 않습니다. 다만 임신성 당뇨가 진단된 모든 임신부가 향후 20년 이내 현성 당뇨로 진행하므로 매년 철저한 추적 검사가 요구됩니다. 임신 전부터 비만하거나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거나 과거 4kg 이상의 거대아 분만의 기왕력 또는 임신성 당뇨 기왕력이 있는 경우, 소변 검사에서 당이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경우는 24주 이전 조기에 임신성 당뇨 선별 검사를 시행합니다. 1차 선별 검사상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2차 임신성 당뇨 확진 검사를 시행합니다.

● 임신 28~32주 : 삼차원 입체 초음파 검사(3D - ultrasound)

임신 중기 산전 정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치명적인 기형 여부 및 기타 이상 소견을 판별한 뒤 임신 후기 태아 성장 발육 상태 및 늦게 발견될 수 있는 기형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정밀 초음파와 마찬가지로 태아 주요 기관을 확인할 뿐 아니라 삼차원으로 재구성한 화면을 통해 2차원 정밀 초음파에서 발견하지 못할 수 있는 구조적 이상 유무를 평가함과 동시에 뱃속 태아의 일상적인 모습을 생생하게 확인 함으로써, 부모의 아기에 대한 생각을 구체화시켜 태교 및 아기 사랑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내는 긍정적인 면이 있습니다.

● 임신 30주~ 분만전

① 혈압, 맥박 등 활력 징후 및 몸무게 측정

매 방문시 측정하여 임신 중독증 또는 기타 모체의 이상 변화를 조기에 판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이학적 검사입니다.

② 태아 심박동 검사(태동 검사, 비수축 검사:Nonstress test)

태아 감시 장치를 연결하여 태아 심박동 변화 및 자궁 수축 정도를 약 20~30분 간 측정합니다. 태동의 변화에 따른 태아 심박동의 반응이 없거나 태아 심박동의 다양성이 소실된 소견이 보이는 경우 태아 상태를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없으므로 생물리학적 계수 측정 또는 태아 도플러 파형검사 등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태아 안녕을 정밀하게 평가해야 합니다.

③ 내진

내진을 통해 임산부가 느끼지 못하는 자궁 경관의 변화 양상과 질 분비물 이상소견, 양수 누출 여부, 태아의 선진부 등을 확인하고 골반 계측을 통해 아두골반 불균형 등의 제왕절개 요인을 사전에 판별하며, 자궁고 측정을 통해 태아 성장 여부를 간접적으로 평가합니다.

④ 초음파

임신말기, 태아의 정상적인 성장 발육 여부 및 거대아 의심 소견, 태반의 위치, 양수과소증 또는 양수과다증 등 양수량의 이상 소견 등을 평가하기 위해 분만 전 까지 1회, 혹은 필요에 따라 반복 시행 할 수 있습니다.

● 분만 후 정기 검진

퇴원 1주 뒤 : 자궁 수측 정도와 회음부, 오로 등 산후 임산부의 정상적인 변환 여부와 모유 수유 정도를 확인합니다. 이상이 발견될 경우 적절한 치료와 추적 관찰이 요구됩니다.
퇴원 6~8주 뒤 : 회음부의 회복 정도와 자궁의 정상적인 산욕기 변화 유무를 평가하고 자궁암 검사 및 난소, 난관 등 양 부속기 관찰과 모유 수유ㅡ 향후 피임에 대한 상담을 실시합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주소 :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199 (미아동)
전화 : (02)902-9955 | 팩스 : (02)945-9973
Copyright © BYKIM WOMEN’S CLINI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