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기형아 검사
페이지 정보

본문
• 염색체 검사
임신부의 혈액을 채취하여 세포의 염색체를 배양해서 염색체의 구조적, 숫자적 이상을 진단한다. 다운증후군 등 정신 박약의 진단, 성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중성 불임의 원인 진단이 가능하다. 기형아 출산 유산의 경험의 있으면 반드시 검사한다.
• 융모막 융모 검사
임신 초기의 태반 조직을 융모막 융모라고 하는데, 이 조직은 태아와 같은 세포에서 유래 되었기 때문에 태아와 같은 염색체 및 유전자 상태를 나타낸다. 임신 9-13주 사이, 특히 10-12주 사이에 자궁 경부 혹은 복부를 통해 태반 조직을 채취하여 염색체핵형을 분석, 배양하여 진단한다. 양수 검사보다 조기에 진달할 수 있고, 안전성 및 정확성이 앞선다.
• 양수검사
양수 세포가 태아로부터 나왔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개발된 검사로, 임신 15-*25주에 이루어 진다. 긴 주사 바늘을 이용하여 태아가 찔리지 않도록 초음파 장치를 보면서, 자궁 내의 양수를 뽑아 세포의 염색체 핵형을 분석한다. 검사 후 결과가 나오기까지 2 주 정도(세포 배양기간) 기다려야 한다.
• 양수 효소 검사
이미 채취된 양수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보조 검사, 태아에게 개방형 신경관 결손이 잇는 경우, 노출된 신경막을 통해 누출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라는 효소를 찾아냄으로써 기형 여부를 확인한다.
• 임신부 혈청 단백질 검사
무뇌아등의 신천성 기형과 다운 증후근 등의 염색체 이상을 조기 진단하는 검사법이다. 모든 임신부는 산전 기본 검사로 혈청 검사를 받는 거소이 바람직하며, 신경과 결손증(무뇌아) 및 기형아를 낳았던 경험이 있는 임신부는 반드시 이 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사는 임신 6-40주 사이에 언제나 받을 수 있느데. 임신 6-12주, 임신 12-16주, 임신 16-24주에 한번씩 받는 것이 좋다.
• 더블 테스트
태아가 출생한 후 정신 박약아가 되는지 여부는 임신부의 혈청을 채취하는 혈액 검사로 알 수 있다.다운증후군 더블 테스트는 임신 초기인 6-12주, 12-20주에태아 단백질과 융모 호르몬을 측정하는 것으로, 다운 중후군과 염색체 이상 태아를 70%이상 알아낼 수 있다.
• 트리플마커 검사
다운 증후군일 가능성이 높은지 판별해 주는 검사로 다운 증후군 여부를 결정짓는 검사는 아니다. 검사 결과 이상이 있다면 양수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 정밀 초음파 검사
초음파 화면에 태아의 신체 각 부위를 나타나게 하여 기형 유무, 발육 정도를 알 수 있다. 정확한 임신 시기, 태아의 생존 유무, 기형, 다태임신, 태반의 위치, 자궁 및 난소 이상 유무를 비롯해 언청이, 구개 파열, 소이증 등 작은 기형도 진단이 가능하다, 임신 기간 동안 3-6번정도 하게 되는데, 하루에 2시간 이상 쐬어도 태아에게는 해는 없다.
• 신생아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
출생 후 1주일 이내에 신생아의 혈액을 뽑아 검사한다. 정신 박약의 원인이 되는 페닐케톤뇨증,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을 조기 발견할 수 있다
임신부의 혈액을 채취하여 세포의 염색체를 배양해서 염색체의 구조적, 숫자적 이상을 진단한다. 다운증후군 등 정신 박약의 진단, 성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중성 불임의 원인 진단이 가능하다. 기형아 출산 유산의 경험의 있으면 반드시 검사한다.
• 융모막 융모 검사
임신 초기의 태반 조직을 융모막 융모라고 하는데, 이 조직은 태아와 같은 세포에서 유래 되었기 때문에 태아와 같은 염색체 및 유전자 상태를 나타낸다. 임신 9-13주 사이, 특히 10-12주 사이에 자궁 경부 혹은 복부를 통해 태반 조직을 채취하여 염색체핵형을 분석, 배양하여 진단한다. 양수 검사보다 조기에 진달할 수 있고, 안전성 및 정확성이 앞선다.
• 양수검사
양수 세포가 태아로부터 나왔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개발된 검사로, 임신 15-*25주에 이루어 진다. 긴 주사 바늘을 이용하여 태아가 찔리지 않도록 초음파 장치를 보면서, 자궁 내의 양수를 뽑아 세포의 염색체 핵형을 분석한다. 검사 후 결과가 나오기까지 2 주 정도(세포 배양기간) 기다려야 한다.
• 양수 효소 검사
이미 채취된 양수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보조 검사, 태아에게 개방형 신경관 결손이 잇는 경우, 노출된 신경막을 통해 누출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라는 효소를 찾아냄으로써 기형 여부를 확인한다.
• 임신부 혈청 단백질 검사
무뇌아등의 신천성 기형과 다운 증후근 등의 염색체 이상을 조기 진단하는 검사법이다. 모든 임신부는 산전 기본 검사로 혈청 검사를 받는 거소이 바람직하며, 신경과 결손증(무뇌아) 및 기형아를 낳았던 경험이 있는 임신부는 반드시 이 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사는 임신 6-40주 사이에 언제나 받을 수 있느데. 임신 6-12주, 임신 12-16주, 임신 16-24주에 한번씩 받는 것이 좋다.
• 더블 테스트
태아가 출생한 후 정신 박약아가 되는지 여부는 임신부의 혈청을 채취하는 혈액 검사로 알 수 있다.다운증후군 더블 테스트는 임신 초기인 6-12주, 12-20주에태아 단백질과 융모 호르몬을 측정하는 것으로, 다운 중후군과 염색체 이상 태아를 70%이상 알아낼 수 있다.
• 트리플마커 검사
다운 증후군일 가능성이 높은지 판별해 주는 검사로 다운 증후군 여부를 결정짓는 검사는 아니다. 검사 결과 이상이 있다면 양수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 정밀 초음파 검사
초음파 화면에 태아의 신체 각 부위를 나타나게 하여 기형 유무, 발육 정도를 알 수 있다. 정확한 임신 시기, 태아의 생존 유무, 기형, 다태임신, 태반의 위치, 자궁 및 난소 이상 유무를 비롯해 언청이, 구개 파열, 소이증 등 작은 기형도 진단이 가능하다, 임신 기간 동안 3-6번정도 하게 되는데, 하루에 2시간 이상 쐬어도 태아에게는 해는 없다.
• 신생아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
출생 후 1주일 이내에 신생아의 혈액을 뽑아 검사한다. 정신 박약의 원인이 되는 페닐케톤뇨증,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을 조기 발견할 수 있다